Surprise Me!

[뉴스A, 다시 간다]‘탈북 모자 아사’ 2년…바뀐 게 없는 빈곤

2021-12-19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채널 A는 개국 10주년을 맞아서 특종보도, 그 이후 이야기를 취재하고 있습니다.<br><br>오늘, 그 세 번째 순서입니다.<br><br>2년 전 집에서 숨진 지 두 달 만에 발견된 탈북 모자 사건, 단독 보도해 드렸습니다.<br><br>북한에서도 우리 땅에서도 굶주림에 시달리다 숨을 거둔 건데요.<br><br>당시 보도가 나가자 정부 국회 모두 대책을 만들겠다 입을 모았죠. 달라졌을까요.<br><br><다시 간다> 여현교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2019년 고 한성옥 씨와 아들 김동진 군이 숨진 지 두 달 만에 발견된 서울 관악구 아파트 앞입니다.<br><br>목숨을 걸고 남한으로 왔지만, 죽음을 맞게 된 모자의 사건은 탈북민 인권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.<br><br>2년이 지난 지금, 국내 탈북민 정착 상황은 어떤지 확인해봤습니다.<br><br>채널A의 보도 이후, 정부는 탈북민 취약계층 553명을 발굴했고 감사원은 15년 만에 탈북민 정착지원의 실태를 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><br>탈북민 복지 제도들이 더 촘촘해 질 것으로 기대됐습니다.<br><br>그런데 지난 5월 취재진에게 들어온 또다른 제보.<br><br>혼자 살던 탈북민인 24살 박 모씨가 극단적 선택을 했다는 내용이었습니다.<br><br>숨진 박씨가 발견된 건 이곳 반지하방입니다.<br><br>경찰은 연락이 안 된다는 친구의 신고를 받고 출동했는데, 이미 숨진 지 수일이 지난 후였습니다.<br><br>10대 초반에 부모와 함께 탈북한 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호 일을 시작했다는 박 씨.<br><br>지인은 박 씨가 극단적 선택을 하기 전 갑질에 시달려 급히 돈을 구하러 다녔다고 말합니다.<br><br>[A 씨 / 박모 씨 지인]<br>"경호 일을 하는데 페인트 통이 있었대요. 그걸 옆으로 치우다가 건축일 하는 사장님 옷에 튀겼대요. 비싼 옷이었다… 그래서 1천만 원을 세탁비로. 저도 그래서 어떻게 양복이 1천만 원 하냐…"<br><br>동물 관련 일을 하고 싶어했다던 24살 박 씨.<br><br>어려움을 터놓을 곳이 없었을 거라고 말합니다.<br><br>[B 씨/ 박모 씨 지인]<br>"(장례식도)아무도 안 왔는데 좀 쓸쓸하더라고요 많이."<br><br>경찰은 박 씨가 금전적 압박에 시달렸다는 사실을 입증할 증거가 없다며 단순 사망사건으로 처리했습니다.<br><br>고 한성옥씨의 지인이자, 탈북민 결혼정보회사를 운영하는 한유진씨.<br><br>[한유진 / 고 한성옥씨 하나원 동기]<br>"(당시에) 몇날 며칠 잠도 안왔어요."<br><br>달라진 것이 없다고 말합니다.<br><br>[한유진 / 고 한성옥 씨 하나원 동기]<br>"바뀐 건 못 느끼는 거 같아요. 상사의 이런 협박 겁박 이런 것들. '탈북○ 주제에' 이 말을 달고 살아요. 태도 자체의 문제에요.탈북자에 대한 태도…"<br><br>문제는 차별과 어려움에 대한 도움을 받을 곳이 없다는 겁니다.<br><br>정부가 탈북민들의 고충을 듣기 위한 전화상담을 시작했지만 2년새 응답률은 절반으로 줄었고, 미응답자의 80% 이상은 전화번호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.<br><br>특히 정착을 돕는 인력도 부족한 상황,<br><br>탈북한 청년들은 실효성 있는 정착 제도가 부족하다고 말합니다.<br><br>[나민희 / 탈북민]<br>"대학을 가려고 굉장히 많이 알아봤거든요. 남북하나재단에도 전화해보고. 막 그랬는데 서울까지 갔어요. 가서 밥 먹고 난 다음에 '지금까지 충분히 잘하고 있다 그 상태로 하면 된다' 그 다음에 헤어졌어요. 더 이상 뭐 어떤 뭐…"<br><br>[이모 씨 / 탈북민]<br>"통일부 예산 그 탈북민 하나원 센터 예산보고 아우 깜짝 놀랐어요. 저런 게 있었어? 생각해 보니까 나는 한 번도 저런 거, 나는 과연 저기에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, 이런 생각도 했어요."<br><br>사회적으로 고립돼 있는 많은 탈북민들.<br><br>단순 지원을 넘어 필요에 맞는 맞춤형 정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여현교입니다.<br><br>PD 윤순용 권용석

Buy Now on CodeCanyon